1.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
    sudo apt update

     

     

  2. SSH 서버 설치:
    sudo apt install openssh-server -y

     

     

  3. SSH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확인:
    sudo systemctl status ssh

    >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"active (running)" 상태로 표시

     

     

  4. 필요한 경우 SSH 서비스 시작
    sudo systemctl start ssh

     

     

  5. 시스템 부팅 시 SSH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
    sudo systemctl enable ssh

     

     

  6. 원격 접속 시, 접속 타임아웃 해지(자동 끊김)

    >> sudo vi /etc/ssh/ssh_config 

    >> 마지막 줄에 아래 2줄 추가 / 저장 후 ssh 재시작 필요

    ClientAliveInterval 300
    ClientAliveCountMax 100

    >> ClientAliveInterval 300 / 살아 있는지 체크 메세지 보내는 주기 / 초

    >> ClientAliveCountMax 3 / 살아 있는지 체크 메세지 보내고 응답이 3번 없을 경우 연결 종료

     

  7. 루트 계정 ssh 접속 허용

    >> sudo vi /etc/ssh/ssh_config 

    >> 파일에서 PermitRootLogin 관련 줄을 검색. PermitRootLogin prohibit-password 또는 #PermitRootLogin no로 되어 있는 부분 주석 해지 및 아래처럼 변경

    PermitRootLogin yes

    >> sudo systemctl restart ssh 또는 sudo systemctl restart sshd

     

     

※ 방화벽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SSH 포트(기본 22번)를 허용
sudo ufw allow ssh

>> SSH 서버 설정 파일은 /etc/ssh/sshd_config에 있으며, 필요에 따라 편집할 수 있습니다:

sudo nano /etc/ssh/sshd_config

>> 설정을 변경한 후에는 SSH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합니다:

sudo systemctl restart ssh

>> 이제 다른 컴퓨터에서 다음 명령으로 접속 가능

ssh 사용자이름@서버IP주소

>> SSH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비밀번호 인증 대신 키 기반 인증을 설정하는 것도 고려 필요

 

 

끗.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우분투 - 내부 마운트  (0) 2025.04.17
우분투 - 원격지 폴더 마운트  (1) 2025.04.17
우분투 - 고정 아이피 설정  (0) 2025.04.16
우분투/리눅스 - 버전 확인  (0) 2025.04.16
Spring WebFlux  (0) 2025.02.10

+ Recent posts